프로덕트 디자이너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설명이 있습니다.
그 중에는 해당 직군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명칭이 있습니다.
저도 가끔 외주나 합류 제안을 받는데, 디자이너마다 제각각 하는 일이 다르다는 것을 모르는 상태로 제안을 주시는 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직접 관련된 설명을 해드리곤 하는데, 아무리 설명을 해도 디자인이라는 단어에 매몰되어 계신 분들을 많이 경험했습니다.
앱이나 웹 서비스를 만드는 데에 디자이너를 채용 또는 고용해야하는 상황에 한정해서 용어가 헷갈린다면 아래 내용을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UI/UX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와 유사)
사용자 경험 설계 및 그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제작하는 직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안에서 경험하는 여러가지의 것들을 직접 설계하고 테스트하며 사용자 경험을 고도화하합니다.
UI 디자이너
설계나 방향이 이미 다른 직군에 의해 제시되어있으며, 그에 따른 인터페이스만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직군
인터렉션 디자이너 (UI 디자이너와 유사)
설계나 방향이 이미 다른 직군에 의해 제시되어있으며, 그에 따른 인터페이스만을 전문적으로 제작하는 직군
UI 디자이너와의 차이점은 기기와 인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다양한 방법의 인터렉션을 연구하고 적용하는 디자이너입니다.
서비스 기획자 (회사마다 천차만별)
비즈니스와 이해관계자들의 맥락과 상황을 파악, 이해하고 해당 비즈니스를 진행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시스템이 이루어져야하는지 정리하는 직군
간혹 매니징까지 포함된 기획자 포지션도 존재합니다.
웹 디자이너
자체적으로 웹에 적합한 디자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웹에 구현할 때 필요한 관련 지식들을 갖추고 있어 백엔드를 제외한 부분에 대해 직접 론칭이 가능한 직군
프로덕트 디자이너 (UI/UX 디자이너와 유사)
고객과 제품의 방향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경험에 대한 설계와 인터페이스를 제작하고, 계속해서 제품을 성장시키는 직군
제품(Product) 전반의 경험설계, 비주얼디자인, 마케팅에 필요한 리서치, 작업, 관리하고 관찰하고 개선하며 그 과정에서 여러 직군의 동료들과 협업합니다.
요약하면, 기획자(PM or PO 역할)와 디자이너가 걸쳐있는 직군으로 정의됩니다.